통합 검색

LIFE MORE+

The Critique

전종서라는 이상하고 새로운 얼굴

이충현 감독의 <콜>은 서로 다른 시대의 두 여자가 한 집에서 전화기 하나로 연결되는 스릴러다. 관객은 전화를 안 받아서 짜증난 영숙 캐릭터 때문에 시종일관 무시무시한 공포에 시달려야 한다. 그 두려움과 떨림의 대가가 나쁜 것만은 아니다. 이창동 감독의 영화 <버닝>에 이어 전종서가 왜 새로운 스타일의 배우인지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얼굴과 새로운 목소리의 전종서는 천진하고 자유로운 연기로 이야기에 예측할 수 없는 긴장감을 불어넣는다. 지금 우리가 전종서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UpdatedOn December 31, 2020

“야!”
영화 <콜>에서 영숙(전종서)은 서연(박신혜)이 자신의 말을 귓등으로 듣자 “야!”라고 소리친다. 한 번은 서연이 전화를 한참 후에 받았을 때, 그리고 한 번은 경찰에 어떻게 잡히는지 알아봐달라는 그의 말에 서연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을 때다. 영숙이 전화기에 대고 큰 목소리로 호통치듯 “야!”라고 하는 순간, 우리도 정신이 번쩍 든다. “야!”라니… 혼내는 거야, 화난 거야? 초등학생이야, 뭐야? 저 사람 뭐야, 왜 저렇게 무서워? 엄마 친구나 이모 친구 중 한 명은 있을 법한 오영숙이라는 평범한 이름이 이렇게 소름 끼칠 줄은 몰랐다. 예능 프로그램에서 수없이 본 서태지 복장이 저렇게 섬뜩할 줄도 몰랐다. <캐리>의 시시 스페이식이나 <샤이닝>의 잭 니콜슨처럼 완전히 고립돼 있다가 결국 폭발해버린 영숙의 그 충동적이고 기묘한 에너지에 2시간 내내 호되게 당했다.

<콜>의 오영숙은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그간 자주 봤던 악인, 연쇄살인마, 혹은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가진 사이코패스의 익숙한 전형을 따라가지 않는다. 한국 스릴러 장르물의 남자 빌런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걸 통제할 수 있다는 듯 흠 없는 태도로 친절한 척하거나, 무표정한 얼굴로 서늘하거나, 재미있는 놀이를 하는 것처럼 이죽거렸다. 그렇다고 또 기존 한국 영화 속 여자 빌런처럼 논리적인 서사를 가진 ‘복수 캐릭터’도 아니다. 영숙은 좀 이상하다. 퀭한 얼굴에 눈두덩이 부은 그는 심술궂기도 했다가 짜증내기도 했다가 초조해하기도 했다가 천진난만하게 굴기도 한다.

찌를 듯한 긴 눈과 코, 살짝 아래로 내려가 억울한 듯 보이는 입, 아이 같기도 했다가 신경질적으로 들리기도 하는 목소리와 말투, 저벅저벅 걷는 태도와 거침없는 움직임은 영숙을 도저히 알 수 없는 사람으로 만든다. 그건 “그러게 전화를 왜 안 받아”와 “누가 사람이 말하는데 전화를 끊어” 같은 지극히 단순한 이유로 내면의 악마성을 드러낸 영숙의 캐릭터와도 연관이 있을 것이다.

전종서가 목소리를 쓰는 방식, 몸을 쓰는 방식을 좀 더 자세히 보면 그간의 악인 클리셰와 상당히 다름을 알 수 있다. 서연이 잠시 후에 다시 전화해달라고 하자 어이가 없기도 하고 조금은 화가 난 듯한 영숙을 카메라가 문밖에서 잠시 비추는 장면이 있다. 그때 영숙은 침대에 등을 기댄 채 두 다리를 쫙 벌리고 앉아 있다. 마치 아이처럼. 이런 장면도 있다. 자기를 죽이려고 한 새엄마에게 화를 낸 후 영숙은 문 삐걱거리는 소리 같은 신경을 긁는 웃음소리와 함께 허리를 90% 넘게 굽힌다. 그리고 이어 무심하게 말한다. “몰라.” 경찰인 줄 알고 겁먹은 채 문을 열었다가 서연과 그의 아버지가 찾아왔음을 알고 약간은 기분이 좋아져서 “엄마!”를 부르는 장면은 또 어떤가. 괴롭힐 대상을 찾았다는 듯 살짝 짓는 그 엷은 웃음은 너무 순진해서 당황스러울 정도다. 영숙의 감정은 조급함에서 짜증으로, 짜증에서 태연함으로, 태연함에서 심술궂음으로 계속 바뀐다. 그 변덕스러움은 자신이 얼마나 잘못하고 있는지 전혀 모르는 순수한 폭력성, 전화를 안 받는 서연이 재수 없다는 그 투명한 공격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며, 이야기 전개에 예측 불가능한 긴장감을 만든다. 실제로 전종서는 영숙이라는 캐릭터에 어울리겠다는 생각으로 시나리오에 없는 장난기 어린 웃음소리를 덧붙였으며, 영숙을 준비하면서 다른 영화나 캐릭터를 참고하는 대신 빌리 아일리시의 음울한 음악과 뮤직비디오를 듣고 봤다고 한다.

<버닝>의 이창동 감독은 전종서에 대해 “지금까지 한국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배우”라며 “<버닝>의 해미라는 인물이 그렇듯 용모나 감성이나 내면 등 전종서에게서 속을 알 수 없는 모습이 보였다”라고 말했다. <콜>의 이충현 감독 역시 “<버닝>을 봤을 때 신비함, 알 수 없는 느낌이 인상적이었다. 어디로 튕겨나갈지 모르는 모습이 영숙 캐릭터와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고 캐스팅 이유를 밝혔다. 전종서의 얼굴은 따뜻한 감정과 안정적인 신뢰감을 주는 고전적인 여자 배우 얼굴과는 조금 다르다. 가느다란 눈과 코는 날카롭다는 인상을 주며 어딘지 비밀스러운 느낌마저 풍긴다. 미스터리한 분위기의 얼굴은 종종 있었지만 날카롭고 신경질적인 이미지를 가진 여자 배우의 얼굴이 그간 한국 영화의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하진 않았다는 점을 상기해보면 전종서가 얼마나 이질적으로 보일지 알 수 있을 거다. 가장 중요한 건 약간 뜬 듯한 목소리다. 높거나 낮게 급변하는 목소리는 퉁명스럽게 들리기도 하고 불안하게 들리기도 한다.

그 목소리는 가볍고 자유로우며 손에 잡히지 않는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매끄럽진 않지만 그렇다고 서툴지 않은 모습, 꾸밈이 없지만 동시에 불편하기도 한 그 모습은 그가 맡은 캐릭터에 대한 호기심을 자아내며 혼란의 공간으로 우리를 데려간다. <버닝>에는, 해미가 아프리카 여행 중 경험한 선셋 투어에 대해 곱창전골집에서 1분 조금 넘게 얘기하는 장면이 있다. 낯선 곳에서 겪은 황당함, 외로움, 경외감, 그리고 허무함을 얘기하는 이 장면에서 전종서는 다양한 얼굴을 하고서 여러 복잡한 감정을 순식간에 넘나든다. <콜>의 영숙처럼 해미 역시 절박하기도 했다가 느긋하기도 하며, 영악하기도 했다가 순진하게 굴기도 한다. 해미는 돈도 없고 삶의 의미도 없는 청춘을 상징할 수도 있지만 해석에 따라 허무 그 자체를 상징할 수도 있다. 아무것도 아니면서 어떤 무엇의 존재. 잡히지 않는 이 캐릭터를 연기하는 전종서를 보면서 <버닝> 초반부 그의 대사가 계속 떠오르는 건 어쩔 수 없다. “여기 귤이 있다고 생각하지 말고 여기에 귤이 없다는 걸 잊어먹으면 돼. 중요한 건 진짜 먹고 싶다고 생각하는 거야. 그러면 입에 침이 나오고 진짜 맛있어.” 확실한 건, 누구든 <버닝>의 해미와 <콜>의 영숙이 어떤 사람인지 말하기 힘들 거라는 것이다.

이제 막 두 편의 영화를 세상에 공개한 배우에게 지나친 기대와 과도한 찬사를 보내는 걸까? 새로운 얼굴과 새로운 목소리, 그리고 새로운 스타일의 배우가 탄생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모두 고개를 끄덕거릴 것이다. 가볍고 천진하며 자유로운 그의 연기 스타일이 큰 기대와 무거운 부담을 만나 어떻게 변모해가는지 지켜보는 것 또한 관객에게 주어진 즐거움이 아닐까. 과연 전종서는 정가영 감독의 <우리, 자영> 같은 연애물에서는 뻔한 것과 낯선 것을 어떻게 보여줄까? <밤을 걷는 뱀파이어 소녀>로 독특한 영화 문법과 미학을 보여준 애나 릴리 아미푸르 감독의 신작 <모나리자 앤드 더 블러드 문>에서는 어떤 미지의 세계를 우리에게 드러낼까?

우리가 할 일은, 새엄마를 죽인 후 브라운 후디 점퍼와 백팩 차림으로 길거리에 나선 영숙이 입을 실룩거리며 짓는 그 해방감을 떠올리며,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얌전히 다음 작품을 기다리는 것이다. 전화는 꼭 제때 받고.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예지
WORDS 나지언(프리랜스 에디터)

2021년 01월호

MOST POPULAR

  • 1
    Classic Finishing
  • 2
    고급 시계 3라운드
  • 3
    <아레나> 5월호 커버를 장식한 배우 송중기
  • 4
    스타와 메가
  • 5
    Keep Calm and Carry On

RELATED STORIES

  • LIFE

    가정의 달을 함께할 5월의 페스티벌 4

    힙합, 뮤지컬, 테크노, 재즈까지.

  • LIFE

    Destination 2024

    일상으로 다시 돌아온 여행은 코로나19 이전과 어떻게 달라졌을까. 2024년 한국 사람들은 어디에서 어떤 여행을 떠나고 싶은 걸까. 여행업계 맨 앞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각자의 힌트와 의견을 들려주었다.

  • LIFE

    가격대 별 '자토바이' 입문 가이드

    지금 가장 스타일리시한 교통수단.

  • LIFE

    연기 없는 저녁

    아이코스는 ‘IQOS Together X’ 이벤트를 통해 어떤 말을 건네고 싶었을까? 그 이야기 속에는 꽤 진지하고 유쾌한 미래가 있었다.

  • LIFE

    아메리칸 차이니즈 레스토랑 4

    한국에서 만나는 미국식 중국의 맛.

MORE FROM ARENA

  • LIFE

    <더 만달로리안>이 포착한 <스타워즈>의 정수

    <스타워즈> 속에 갇혀 있던 만달로리안 종족 이야기가 <더 만달로리안>으로 세상에 나왔다. 디즈니 플러스에서 선보인 <더 만달로리안>의 흥행에는 ‘베이비 요다’도 한몫했지만 미국 영화 산업의 역할도 컸다. 만달로리안 이야기 속에는 차별이 없다. 다양한 문화와 관념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공통점을 갖고 맞닿아 있다. 단지 연결하는 것, 그게 <더 만달로리안>이 국내에 출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국내 팬을 보유한 이유이며 <스타워즈>를 훌쩍 뛰어넘은 비법이다.

  • LIFE

    아주 사소한 가게

    너무나도 작은 이 물건들이 일상의 감도를 높인다. 작은 사치를 부리기에 딱 좋다.

  • FILM

    연주 속으로

  • INTERVIEW

    살아가는 힘

    이재욱이 살아가는 힘은 여러 가지다. 가슴을 뜨겁게 만든 꿈, 불도저 같은 집념, 긍정 에너지. 그는 더 이상 자신에게 한계를 두지 않고 표현한다.

  • AGENDA

    운동을 부르는 거리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부터 2호선 강남역까지, 도보로 15분이 채 안 걸리는 거리에 스포츠 브랜드 매장이 5개나 자리 잡았다.

FAMILY SITE